연예인 BJ 움짤저장소
우주, 우주의 크기! 본문
카테고리 없음

우주, 우주의 크기!

프나체고 2020. 9. 28.

안녕하세요 우우주입니다! 오늘 글로 소개드릴 내용은 바로 우주 입니다!

우주란 뭘까. 저도 굉장히 고민 많이 해보고 검색도 해봤는데요. 대부분의 우주로 쓰이는 의미는 이 지구 대기권 바깥 공간의 경계지점인 상공 118km부터 우주라고 쓰이고 이 의미는 좁은 의미라고 표현하는데요. 넓은 의미로의 우주는 이 세상, 그 이상, 이 모든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인간도 우주의 일부가 됩니다.

 

더 풀이해 보자면 한자로 쓰는  우주(宇宙)는 집 우 자에 집 주 자를 씁니다. 천자문도 나름대로지만 이 우주관을 통해서 만들어 졌다고 하는데요. 저 우주 라는 한자어는 현대에 우주론에서 뜻하는 시공간 의 의미를 담고있다고 해요. 동서남북과 위 아래를 통합해서 의미하는 방위, 공간적의미로는 우(宇) 가 쓰이고 예전부터 지금까지의 시간의 의미를 담고있는 시간적 의미로는 주(宙) 가 쓰인다고 해요.

 

참고로 우리가 보고있는 우주는 과거의 모습입니다. 왜냐? 빛의 속도로 지구에 도달하는데에도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죠. 흔히 어떤 행성이 지구에서 n광년 떨어져 있다! 라고들 하는데 이 얘기는 지금 보이는 그 어떤 행성이 n년 전의 모습이라는 것 이죠. 예를 들자면 지구에서 10광년 떨어져있는 q라는 행성이 지금 우리눈에 보인다면 이 q행성의 모습은 10년 전 물체라는 뜻 입니다.

다시 우주의 정보로 돌아오면, 우주의 나이는 약 138억 년 정도라고 하고, 인류가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Observable Universe) 는 지구를 중심으로 해서 반경 465억 광년 정도를 뜻하므로 총 합치면 930억 광년 정도의 규모가 됩니다! 여기서 말하는 관측 가능 이란 파장과 같은 신호가 원리상, 이론상으로 언젠가 열심히 달려서 영원한 먼 미래에 지구에 닿을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고 해요. 즉 관측 가능한 우주 바깥쪽은 아무리 기다리고 우주가 없어진다해고 지구에 도착하지 못한다는 뜻 이겠죠?

그래서 관측 가능한 우주의 범위는 우리가 살고있고, 관측지가 되는 이 지구를 중심으로 구의 모양을 띄게 됩니다. 여기서 착각하면 안되는게, 우주의 중심이 지구가 아닙니다! 우리가 지구에 살고있고 지구가 관측지가 되어서 1인칭 시점으로 중심이 된다는 뜻 입니다!

이 관측 가능 우주 바깥으로는 알 수 있는 방법이 없기때문에, 우주가 유한한지 무한한지 알 수 없습니다. 저도 참 궁금해 했던 내용인데, 결국 방법이 없기때문에 각자 믿는 쪽으로 믿기로…ㅎㅎ

관측 가능한 우주에 있는 모든 물질의 총량은 약 5×10의 23제곱 정도 된다고 해요. 우리 은하 정도가 약 500억개 정도 있을 수 있는 양 이랍니다..! 그런데 이 중에서 15%만 일반적인 물질이고 나머지는 암흑물질, 우주를 봤을 때 검은 부분에 해당하는 그 암흑물질로 이루어져 있다고 해요. 항성이나 블랙홀 과 같은 천체들이 차지하고 있는 질량은 우주에서 약 1%밖에 안되고 나머지 14%는 뜨거운 가스의 형태로 우주 여기저기에 넓게 퍼져있답니다.

우주의 온도는 열의 거의 미치지 않는 항성계 사이 공간 쪽의 온도로는 영하 270도 라고 합니다. 아무것도 없는 부분보다는 핵융합으로 에너지를 내는 별 주변이 더 온도가 높다고 하네요.

다른 우주 이야기는 다음 글에서 이어서 쓰겠습니다..>!

Comments